탈한전 시대 한국전력의 과제: 2025년 부채위험 진단
research 2025-08-06
가스 석탄 금융 민간 금융 채권 석탄

탈한전 시대 한국전력의 과제: 2025년 부채위험 진단

소개

2025년 현재 한국전력은 화석연료 의존에서 비롯된 부채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국내외 금융기관의 탈석탄 기조 강화, 산업용 전력수요의 정체와 PPA 등을 통한 탈한전 추세의 강화는 한국전력의 적자 구조 개선을 어렵게 하고 있다.

2028년 예정된 사채발행한도 축소에 따른 부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로의 급속한 전환과 전력시장 구조개편을 모색해야 한다.

요약


이자 비용 부담으로 부채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전력

  • 한국전력 구매 전력의 60% 가량을 차지하는 석탄과 천연가스 가격은 2021년 40조 원 대에서 2022년 68조 원대까지 급증하였으며, 이후에도 연간 50~60조 원대로 증가

  • 2021년 말부터 2023년 초까지 이어진 역마진 구조로 한국전력은 누적 48조 원에 달하는 영업 손실을 기록했으며, 2024년에야 비로소 영업이익 3조 원으로 역마진 구조에서 벗어남

  • 이 기간 한국전력의 부채는 60조 원에서 120조원으로 2배 증가했으며, 부채비율은 112%에서 619%로 6배 가까이 늘어나, 적자 구조 회복에도 누적된 이자 부담이 연간 3조 원(2024년 기준)에 달해 재무 구조 개선에 발목을 잡고 있음

  • 2025년 2분기 기준 한국전력의 채권 발행 잔액은 76조 원으로 2023년의 80조 원 대비 감소한 수준이나 2024년 이후 정체 상태로 만기 도래 채권을 재발행을 통해 연장하고 있음

국내외 탈석탄 금융 기조 강화, 그린워싱 및 허위공시 논란으로 자금 조달 난항

  • 2024년 말 기준 회사채 및 외화사채의 만기 분포를 보면 연간 20조 원의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며, 현재 발행 추세를 볼 때 2027년 이후에도 유사한 규모의 만기 도래가 지속될 가능성 높아 지속적인 자금 조달을 필요로할 것으로 전망

  • 해외채권의 그린워싱 논란 등과 더불어 2025년 2월 발행된 외화채권은 일반 발행 규모 역시 기존에 비해 큰 폭 감소한 4억 달러에 머물러 해외채권을 통한 자금 조달의 불투명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지난 6월 싱가폴 증권거래소에 기후위험 누락으로 공익신고 제기되어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성 하락

  • 2024년 12월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석탄 발전 및 채굴 산업에 대한 투자제한전략을 도입하기로 해, 석탄발전 비중이 높은 한국전력 채권 투자는 감소할 가능성 높음

산업용 전기 수요 정체, PPA 등 탈한전 추세 확대로 수익성 개선 불투명

  • 산업용 전기의 판매액 비중은 54%로 유사하게 유지 중이나, 판매 전력량은 2022년 296TW 이후 감소추세에 있으며, 판매전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55%에서 2024년 50%까지 감소했으며, 2025년 1분기 비중은 49.63%로 절반 이하로 감소함

  • 산업용 전기 수요는 경제성장률 감소 및 제조업 경기 부진 등에 따라 정체현상을 겪고 있으며, 산업용 전기요금 부담 및 RE100 대응 차원에서 기업이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전기생산자와 거래계약을 체결하는 직접 PPA 증가 추세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 위험과 구조개편 과제

  • 영업이익 정체를 전제로 한국전력의 순이익, 자본금 및 적립금 증분, 채권 발행 등이 2024년과 같은 수준으로 지속될 경우 2028년 사채발행한도가 2배로 복원되는 시점에 사채발행한도 초과 가능성 존재

  • 한국전력의 채권 발행에 따른 금융시장 영향은 상당 부분 축소되었으나, 금융 시장 불안정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채권 시장은 물론, 기업어음, 단기사채 시장 등에 충격을 줄 가능성이 존재함

  • 총괄원가보상제도, 용량요금 등 화석연료에 과도한 보상이 주어지는 전력시장 구조를 개편하고, 발전공기업 과의 거버넌스 분리를 통해 부채 해소를 위한 추가 재원 마련 등을 모색할 수 있음

  • 탈석탄 이행, 좌초자산 우려 현실화 등에 따른 석탄발전소의 자산 정리 및 그에 따른 유관 발전공기업의 재무구조 및 사업구조 개편 모색 필요

기후솔루션과 기후위기 대응에 함께해 주세요!

후원하기
  • 정책 연구 및 제안​

    정책 연구 및 제안​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산업, 경제 정책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을 통해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지도록 합니다.​

  • 법률 활동 / 소송​

    법률 활동 / 소송​

    기후위기 문제 해결을 늦추는 기업과 정부에 책임을 묻고 정책 개선을 목표로 소송 등 다각적인 법적 전략을 실행합니다.​

  • 커뮤니케이션 및 캠페인​

    커뮤니케이션 및 캠페인​

    세상을 바꾸는 힘은 시민에게서 나옵니다. 강력한 메시지와 다양한 소통 방식으로 시민들과 함께 기후변화 문제를 알리고 행동을 촉구합니다.​​

  • 국제 협력

    국제 협력

    기후위기는 국경 없는 문제입니다. 국제 환경 단체들과 협력하여 국제사회의 변화를 도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