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4번째로 큰 규모의 화석에너지 투자국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G20의 5분의 1
무늬만 그린뉴딜에 결국 녹색 경기부양 지표에서 마이너스 평가 받아
- 한국이 최근 2050 탄소중립 선언을 했음에도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는 여전히 G20 평균에 못 미친다는 평가를 내린 보고서가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 수준은 G20 평균의 2배에 육박하는 수치를 기록했으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G20 평균의 5분의 1 수준이었다.
- 18일(한국 시간) 오후 2시 국제 환경 협력단체 기후투명성(Climate Transparency)이 2020년 보고서를 발간했다. 기후투명성은 기후변화 행동을 촉구하기 위한 공통의 목적으로 모인 국제 씽크탱크로 매년 G20 국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현황을 다양한 부문에서 평가·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한다.
- 이번 보고서에는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수준을 객관적으로 분석, 평가한 내용이 20페이지 분량으로 정리됐다. 보고서 내용은 적응(Adaptation,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 완화(Mitigation,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노력), 금융(Finance, 기후변화와 관련된 경제 활동) 세 가지 부문으로 분류된다.
- 한국에 관한 주요 요점은 아래와 같다.

- 기후투명성 공동회장인 피터 아이겐 교수는 "한국 정부를 비롯한 여러 나라는 에너지 정책과 공적 자금을 장기적인 탄소 배출 감소 목표에 맞춰야 한다"라며 "보고서에 나왔듯 한국의 1인당 탄소배출량이 G20의 2배에 달하며, 매우 불충분한 한국의 NDC를 고려했을 때, 한국은 2050년 탄소중립까지 할 일이 많다"라고 지적했다. 아이겐 교수는 "한국이 2029년까지 탈석탄을 하고 2030년엔 배출 목표를 강화해 파리기후협약에 따른 공정 분담을 지키고, 화석에너지에 들어가는 금융이 재생에너지쪽으로 전환되길 희망한다"라고 덧붙였다.
-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는 "한국의 현행 에너지 계획과 투자결정은 2050 탄소중립 선언과 일맥상통하지 않는다"라고 분석했다. 김 대표는 "한국이 일관된 행보를 보여주려면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석탄화력발전 투자를 철회하고, 국내에서도 신규 석탄화력발전소와 가스복합발전소 건설을 중단해야하며 불합리한 재생에너지 인허가 규제, 판매 독점으로 제한된 유통망, 경직된 계통운영 방식 등 재생에너지 도입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없애야 한다"라고 말했다.
Share this 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