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P, where are we now? 개괄 및 역사
1) 개괄
-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 Conference of the Parties)란: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을 논의하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당사국 총회임. 매년 개최되는 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함께 기후변화에 대해 논의하고, 전 지구적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협정을 체결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후변화 협의체로 볼 수 있음.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파트너들이 함께 참여하는 행사로 발전.
- 올해 개요: 11월 11일(현지시각)부터 22일까지 12일 간 일정으로 아제르바이잔 바쿠(Baku)에서 열림. 29번째 COP으로(최초의 COP은 1995년에 베를린에서 열렸으나,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건너 뛰어 올해 29번째), 세계 198개국 대표단과 3만2천 명이 넘는 인원이 참가할 전망
2) Where are we now?
- 최초의 COP이 열리기 이전 주요 사건부터 가장 최근의 COP28(지난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개최)까지 주요 맥락을 짚으면 다음과 같음.
• 1985년: 비엔나 기후변화 회의 개최(오존층 파괴 영향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최초로 만들어진 국제협약)
•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 (오존층 파괴 물질 규제, 염화불화탄소-CFC 관련)
• 198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설립
• 1990년: IPCC 첫 번째 평가 보고서 발간: 인간 활동이 온실가스 증가의 주요 원인임을 밝혀 글로벌 조약의 필요성 제안
• 1992년: 유엔 환경 개발 회의(UNCED) 및 브라질 리우 환경 정상 회의(Rio Accord, Earth Summit) 개최. 온실가스 배출 억제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논의의 시작 à UNFCCC(유엔기후변화협약) 결성 결의
• 1994년: UNFCCC 발효, 154개국 서명, 당사국 총회(COP) 연례 개최 결의
• 1995년: 첫 UNFCCC 당사국 총회(COP1)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
• 1997년: COP3에서 교토 의정서 채택(세계 최초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조약, 38개 선진국의 배출 감축 목표 설정, 당시 한국은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되어 감축 의무를 지지 않았음)
• 2015년: 역사적인 COP21 파리 협정 채택(세계 최초 198 개국 기후변화 협약).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C 이하로 제한하고, 1.5°C 목표를 추구하기로 함. 한국을 포함한 모든 회원국의 기여와 ‘공통되나 차별화된 책임’을 강조하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 이전 및 재정 지원, 역량 구축과 인식 제고를 목표로 함
• 지난해 COP28에선 세계 공동(한국 포함)으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3배로 확대하고, 에너지 효율을 2배로 높이자’는 서약을 채택. 또한 국가별 감축 이행 점검, 기후 적응과 재정 지원에 대한 논의가 이뤄짐
2. COP29, 쟁점 및 한국 관련 주요 사항
1) 2035년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한 COP21에서 각국 정부는 5년마다 감축목표 및 이후 연동 계획을 수립하기로 함. 이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들은 UNFCCC 사무국에 2035년 목표를 내년 2월까지, 늦어도 COP30까지 제출해야 함. COP29에서 2035년 NDC 제출이 의무인 것은 아니지만, 각국이 얼마나 야심찬 2035 NDC 제출을 조기에 발표하는지가 각국의 기후 대응 의지를 가늠하고 대응 재원 논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직전 개최국인 UAE와 내년 개최국인 브라질은 이번 COP 시작 전에 일찌감치 2035 NDC를 내놓았으며, 기후 리더십을 가진 다른 국가들의 조기 발표도 기대해볼 수 있음.
- 특히 유엔환경계획(UNEP, UN Environment Programme)이 최근 발표한 ‘2024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 보고서’(Emissions Gap Report 2024)는 각국의 감축 목표를 분석한 결과 현재 파리 협약이 목표로 하는 1.5°C 제한은커녕 2.0°C 달성조차 위태로운 상황임을 강조.
<배출량 격차 보고서 주요 내용>
- 온실가스 배출 현황: 2023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하여 571억 톤에 달함
- 기온 상승 전망: 현재 각국의 정책이 유지될 경우, 금세기 말까지 지구 평균기온은 2.6°C ~최대 3.1°C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감축 목표와 격차: 1.5°C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2%, 2035년까지 57% 감축해야 함. 그러나 현재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로는 목표 달성이 어렵고, 2030년까지 190억~220억 톤의 추가 감축이 필요함. 2°C 이하 목표를 달성의 경우에는 110억~140억 톤의 감축이 요구됨
- 주요 배출국의 역할: 주요 20개국(G20)이 전 세계 배출량의 77%를 차지하며, G20의 현 정책으로는 2030년에도 350억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NDC에서 목표로 했던 것보다 10억 톤을 초과한 것임. 특히 한국을 포함한 11개국은 현재 정책으로는 NDC 목표조차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보임
- 또한 2024년에는 각국이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Biennial Transparency Report)의 첫 제출이 예정되어 있음. 각국은 이 보고서를 통해 NDC 달성을 위한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해서 기술해야 하며 이 내용을 기반으로 2035 NDC의 내용을 결정.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국가들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검증할 첫 번째 결과 보고서가 될 것으로 보임.
- 한편 우리나라는 지난 8월 헌법재판소의 ‘기후 소송’ 결정으로 2035년 목표 설정을 포함한 기후 대응에 있어 “과학적 사실과 국제적 기준에 근거한”(헌재) 보다 야심찬 목표를 설정해야 할 책임을 안고 있음.
<헌재 판결 주요 내용>
- 헌법재판소는 청소년·시민단체·영유아 등이 제기한 헌법소원 4건을 병합한 판결에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8조 제1항에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림
- 한국 정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배출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고 발표했으나 헌재는 “(그 이후인) 2031년부터 2049년까지의 감축 목표에 관해 그 정량적 수준을 어떤 형태로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과소보호금지 원칙을 위반했다”라고 밝힘
- 헌재는 결정 취지에 맞게 2026년 2월 28일까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을 개정하라고 하였기에, 의회와 정부는 18개월 안에 헌재 판결을 반영해 NDC를 설정해야 함
- 한국 정부 전망
• 한국의 경우 COP29에서 2035 NDC 제출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 COP30 이전 발표 예상
• 시민사회에선 2035년 NDC의 감축 목표를 2018년 총 배출량 대비 67%(플랜1.5) 등으로 제시
• 또한 2035년 NDC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1) 2035년까지 석탄발전소 조기 폐지 2) 신규 화석연료 시추 및 프로젝트 금지 3) 재생에너지 규제 완화를 통해 2035년까지 최소 50%(182~250 GW)재생에너지 발전량 확대의 과제가 있음
★기후솔루션 하지현 변호사
: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등으로 세계의 기후 대응 공조가 약해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닥쳐온 기후 피해를 완화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집중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전 세계적인 대응이 시급하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이번 COP에서도 그런 기조가 이어지리라 기대하며, 이미 유럽연합(EU), 중국 등에서도 재생에너지, 전기차, 친환경 제철 등의 기후 의제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만큼 미국 대선 결과가 미치는 영향도 예전과 같지 않을 것이다. 한국 역시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과학과 책임에 기초해야 한다는 최근 헌법재판소 판결 취지에 호응하여 적극적인 자세로 올해 협상에 임하리라 기대한다"
2) 새로운 재원조성 목표(NCQG)
- 기후재원의 배경:
• NCQG는 New Collective Quantified Goal의 약자로, 역사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책임이 큰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 전환 자금 제공에 대한 내용임.
• 그 역사는 1994년 3월 21일 공식 발효된 UNFCCC 유엔기후변화협약(다자조약1213호)으로 거슬러 올라감.
: 제4조 3항, ‘부속서 II에 포함된, 선진국인 당사자와 그 밖의 선진 당사자는 개발도상국이 제12조 제1항에 따른 공약을 이행하는 데에서 부담하는 합의된 만큼의 모든 비용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추가적 재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조약에 따라, 개발도상국이 협약 이행에 수반되는 합의된 모든 비용(agreed full costs)을 충당하도록 선진국은 새롭고 추가적인 재원(new and additional financial resources)을 제공해야 함.
• 2009년 코펜하겐 COP15: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UNFCCC COP15에서 이 문제가 집중 논의되었으나, 『Copenhagen Accord』(코펜하겐 합의문)는 총회에서 채택되지 못함. 다만 정치적 수준에서 세계는 역사적으로 온실가스를 주로 배출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게 연간 1000억 달러(약 150조 원)의 기후 대응 재원을 2020년까지 조달하기로 합의하였음.
• 2010년 칸쿤 COP16: 『칸쿤 결정문』(Cancun Agreements)이 채택되면서 선진국들은 2020년까지 연간 1000억 달러의 재원을 조성하는 녹색기후기금(GCF)을 설립하기로 합의(개도국의 기후변화대응 사업 지원 목적)
• 2015년 파리 COP21: 2025년까지 기후재원 조달 목표 연도 재조정 및 신규기후재원목표(NCQG) 설정을 협의함. 2009년 코펜하겐 COP15 합의에도 불구하고, 약속한 액수의 달성이 점차 늦춰졌고, 파리 협약에서 2025년까지 기후 대응을 위한 전세계적인 재원 조달 목표를 다시 설정하기로 한 것임.
• 2016년 1월 UNFCCC COP21 보고서 파트2(Part two):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들에게 제공하기로한 연간 1000억 달러 기후 재원 마련 연도를 2020년에서 2025년으로 연장함. 그리고 2025년까지 최소 1000억 달러 이상의 새로운 목표(NCQG)를 수립할 것에 합의함
• OECD 기후재원 목표 달성 발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게 약속한 연간 1000억 달러(약 136조 원) 규모의 기후 재원 목표를 (뒤늦게나마) 달성했다고 2024년 5월 29일 OECD가 밝힘. 지난 2022년에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을 위한 기후재원으로 1159억 달러(약 158조 원)을 조성하였다는 내용. 이는 원래 목표 연도인 2020년 보다 2년 늦게 달성한 것임.
• 2024년 바쿠 COP29: 이번 COP에서는 구체적으로 기후재원 총량(국가들이 얼마나 재원에 투자를 해야 하는지), 지원 범위, 재원 공여국, 재원 조달 방안, 재원 배분 분야 등의 합의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표. 이번 NCQG가 파리기후협약에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지도 논의가 필요함. 특히 이 재원이 언제까지 모일 수 있을지, 어떻게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을지 이번 COP에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 또한 NCQG 틀에서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기금 및 감축과 적응 관련 논의도 진행될 예정임.
- 현재 상황:
• 올해 COP을 개최하는 의장국인 아제르바이잔의 목표: 코벤하겐에서 합의한 액수(1000억 달러)의 10배인 1조 달러 이상으로 총량을 늘린 재원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는 것임. 개발도상국은 닥쳐온 기후 위기에 대한 적응과 대응을 위해선 그 정도 액수가 필요하다는 입장.
*독일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PIK)가 지난 4월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 의하면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생산 감소, 노동 생산성 저하 등 각종 여파로 인해 북미, 유럽을 포함한 세계가 받는 경제적 피해의 경우 연간 38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선진국 측 입장: 이미 기한 내 재원 조달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선진국들은 이런 목표에 대해 1) 정부뿐 아닌 민간의 기후재원 공여를 대폭 증대하고, 2) 중국을 기후재원 기여국으로 설정하는 등의 큰 틀의 변화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입장.
• 서로 의견이 엇갈리면서 세부적인 목표를 포함한 NCQG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어떤 결론이 나올지 주목됨.
- 우리나라는 UNFCCC 기준 개발도상국(비부속서Ⅰ)으로 분류되어 국제사회에서의 기후재원 출연의 의무는 없었으나, 분류가 이뤄진 교토 의정서 당시(1997년)에 비해 현재 경제(1인당 국민소득, 일본을 추월해 세계 6위) 및 온실가스 배출 규모(세계 13위) 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으므로 달라진 역할이 요구됨
<기존 파리협정 기후재원 VS NCQG>
★기후솔루션 김주진 대표
“우리나라는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성공적으로 유치하고 사무국을 운영한 경험을 살려 손실과 피해 기금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은 온실가스 다배출 국가로서 개발도상국을 위한 기후 재원에서 무관심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COP29에서 NCQG에 서약함으로써 기후위기 해결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
3) 한국 정부에선 누가 참석?
- 환경부 김완섭 장관과 외교부 정기용 기후변화대사를 대표로, 관계부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정부 대표단이 참석
* 국무조정실(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한화진 위원장), 외교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4) 올해 한국과 관련 높은 협약
-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
• 2030년까지 에너지 저장 용량을 2022년 대비 6배(1500GW)로 늘리고, 2040년까지 8000만 km 길이의 전력망 추가 또는 개조를 목표로 한다는 내용
• 지난해 COP28에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3배로 늘리자는 서약의 연장선에서 볼 수 있음. 햇빛과 바람을 발전원으로 하는 재생에너지 경우, 지속적인 발전이 어렵고 해가 없는 밤이나 바람이 불지 않는 때에는 발전이 멈추는 문제(간헐성 문제)가 제약 사항으로 지적됨.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발전량이 많은 때에 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발전이 끊기는 시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의 확보가 중요함. 올해 COP에서 이를 보완하는 후속 서약의 실제 체결 사항 및 참가국 규모 등이 주요 포인트가 되겠음
• 또한 전기는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연결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인 만큼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재생에너지의 급격한 보급을 위해선 전력망(grid) 확충 역시 중요한 과제인데 이를 위한 서약도 함께 나올 것으로 전망.
• 다만 한국 정부가 이러한 서약에 관심을 가질지는 미지수
★기후솔루션 에너지시장정책팀 한가희 팀장
“지난해 COP28에서 우리는 재생에너지 3배에 서약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3배를 달성하고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려면 재생에너지 공급업체가 전력망에 공정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기존 화석 연료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는 전력망 거버넌스 시스템을 재생 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기술 확대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COP29의 에너지 저장과 그리드 협약에 참여하느냐 여부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다.”
- 유기성 폐기물 메탄 감축 서약
• 유기성 폐기물 메탄 감축(COP29 Declaration on Reducing Methane from Organic Waste)은 유기성 폐기물 및 음식물 쓰레기 메탄 감축을 위한 정량화된 목표를 NDC에 반영하는 것이 주목해야 할 부분임
• 이번 COP29에서는 특히 2030년까지 메탄 배출을 포함한 전세계 비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할 것을 촉구. 아제르바이잔은 IPCC 1.5°C 경로에 따라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수준보다 30% 이상 줄이겠다는 글로벌 목표에 기여하기 위해 이미 메탄 서약에도 참여했음
• 특히 글로벌 메탄 서약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탄 문제에 주목을 해야 하며, COP29에서는 글로벌 메탄 서약(GMP)을 보완하기 위해 유기성 폐기물에서 메탄 저감에 관한 COP29 선언을 발표할 예정임. 특히 NDC에서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줄이기 위한 부문별 목표를 설정하겠다는 약속을 선언할 예정임.
★기후솔루션 메탄팀 노진선 팀장:
“우리나라는 지난해 '2030 메탄 감축 로드맵(이하 메탄 로드맵)을 발표하며, 선도적인 메탄 정책 리더쉽을 보여 주었다. 이번 COP29에서 주목되는 ‘유기성 폐기물 메탄 감축 서약’에 우리나라 정부의 동참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의 폐기물 관리 인프라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폐기물 처리 기술에 있어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메탄 로드맵에서 폐기물 부문의 감축 비중을 49%로 가장 높게 설정한 만큼, 이번 서약에 동참하는 한편 2035 NDC에 메탄 로드맵 내용을 반영하고, 이행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 덧붙여 우리나라 에너지 공기업은 해외자원개발사업에서 국가 에너지 부문 메탄 배출량의 약 40%가량에 달하는 메탄을 배출을 하고 있다. 석유가스 공기업은 석유가스메탄 파트너십 가입을 통해 국내외 메탄 감축의 책임을 다 해야만 한다.”
5) 아제르바이잔, 산유국 개최 관련 우려
- COP27(이집트), COP28(아랍에미레이트)에 이어 아제르바이잔 역시 주요 산유국 가운데 하나로, 온실가스 핵심 배출원인 화석연료 생산을 주 산업으로 하는 국가에서 연속으로 COP을 개최하는 것에 대해 국제 사회와 언론의 비판 지점이 있음
- 이번 COP29 의장은 무흐타르 바바예프 환경자원부 장관(58)으로, 그는 아제르바이잔 국영석유회사 SOCAR에서 24년간 근무, 부사장까지 올랐으며 2018년부터 현 정부의 환경천연자연부 장관을 지내고 있음. 아제르바이잔에서 SOCAR의 경제 비중은 압도적. 석유, 가스 관련 산업이 아제르바이잔 GDP의 약 60%를 차지하며, 이중 SOCAR가 대부분을 차지함. 그는 모스크바대학 졸업 이후 현재까지 아제르바이잔 석유사업에 커리어의 대부분을 올인한 인물
- 개최를 코앞에 앞두고 기후환경단체 글로벌 위트니스(Global Witness)가 석유가스 회사로 위장해 이번 COP 최고책임자(chief executive)인 엘너르 솔타노프(Elnur Soltanov)에 접근하여 후원을 대가로 화석연료 거래 성사에 도움을 요청하자 응한 사실이 보도되면서 시작부터 적지 않은 비판이 예상됨
6) 기타 포인트
- 의장국 아제르바이잔의 여러 이니셔티브와 서약들
• 기후 재원/ Climate Finance Action Fund (CFAF): 의장국 발표에 의하면 화석 연료 생산국과 기업들의 자발적 기부금으로 조성되며, 완화, 적응, 연구 개발 전반에 걸쳐 공공 및 민간 부분을 촉진시킬 계획임. 또한 이 기금은 개발도상국이 자연재해로 인한 결과를 해결할 수 있는 재원(NCQG와 별개인지, 부속 사항인지에 대한 여부)
• 투자 및 무역/ The Baku Initiative for Climate Finance, Investment and Trade (BICFIT): 기후 금융, 투자 및 무역의 연계에 초점을 맞춘 이니셔티브이며, 기후재원을 투자와 무역 논의로 확산 노력
• 녹색 에너지존/COP29 Green Energy Zones and Corridors Pledge: 지역적인 협업을 통한 경제와 인프라 성장과 발전을 위한 투자 서약
• 수소 행동/COP29 Hydrogen Declaration: 청정 수소 공공 및 민간 투자와 규제, 기술, 금융 표준화
• The Baku Global Climate Transparency Platform (BTP): 개도국의 격년 투명성 보고서 준비 및 제출 지원. 이를 통한 국제적 투명성 보고 역량 강화
• COP 휴전 제안/COP Truce Appeal: 올림픽 휴전을 본떠 기후와 평화를 위한 COP 휴전 제안
• COP29 녹색 디지털 행동 선언/COP29 Green Digital Action Declaration: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후 긍정적 변화를 가속화하고 ICT 부문의 배출량 감축 촉진 선언
• 기후 회복탄력성을 위한 바쿠 민간 개발 이니셔티브/The Baku Initiative on Human Development for Climate Resilience: 교육, 건강, 청소년 복지 등 인적 개발 촉진 및 환경 교육 강화 이니셔티브
• 농업인을 위한 바쿠 하모니아 기후 이니셔티브/ The Baku Harmoniya Climate Initiative for Farmers: 농업 분야의 협력과 여성 및 지역 사회 역량 강화 촉진 이니셔티브
• 회복력 있고 건강한 도시를 위한 COP29 다부문 행동 경로(MAP) 선언/COP29 Multisectoral Actions Pathways (MAP) Declaration for Resilient and Healthy Cities: 도시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문 협력 강화 선언
• 관광 부문 강화 행동을 위한 COP29 선언/COP29 Declaration on Enhanced Action in Tourism: 관광 분야의 배출 감축 및 지속 가능한 관행 촉진 선언
• 기후 행동을 위한 COP29 물 선언/COP29 Declaration on Water for Climate Action: 물 관련 생태계 보호 및 통합적 기후 대응 촉구 선언
6. COP29, 날짜별 주목 Point
1) 첫째주(WEEK 1)
• 월요일(11일): COP29 오프닝
• 화요일(12일)~수요일(13일): 클라이밋 액션 서밋(Climate Action summit) / NDC, NCQG, 손실과 피해 기금, 이산화탄소 외 메탄 등 온실가스 등에 대한 정상 회담이 진행될 예정임. 세계 지도자들이 모여 파리협정을 어떻게 진전시키고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국가별 성명을 발표함. (세부일정) 아울러 메탄 및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에 대한 미국, 중국의 회담도 진행될 예정임.
• 목요일(14일): 금융, 투자와 무역(Finance, Investment and Trade) / 투자 및 무역을 위한 바쿠 이니셔티브(BICFIT) 고위급 회의, 기후 금융 행동 기금 출범을 위한 고위급 행사, 제2차 비즈니스, 투자 및 자선 플랫폼, 일자리와 기술을 포함한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투자 촉진을 위한 고위급 대화를 개최될 예정임. Finance day에는 개발도상국을 위한 서약이 나올 것으로 전망됨.
• 금요일(15일): 에너지, 평화, 구호와 복구(Energy, Peace, Relief and Recovery) /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수소에 대한 서약 및 선언도 발표될 예정임. 더불어 평화를 위한 기후 행동의 시급성에 대한 공동 촉구문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됨
• 토요일(16일): 기후 기술(Tech development) /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을 위한 공동 행동이 추진됨.
2) 둘째주(WEEK 2)
• 월요일(18일): 아동 및 청소년, 건강, 교육 등(Human Capital, Children and youth, Health, Education) / 청년, 건강, 교육 등 기후 회복력과 인간 개발의 관계를 다룸
• 화요일(19일): 식량, 농업과 물 (Food, Agriculture and Water) / 식량안보를 위한 기후와 농업문제에 대한 주제의 날임. 유기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탄 저감에 대한 선언문이 발표될 가능성이 높음
• 수요일(20일): 도시화, 교통, 관광(Urbanisation, Transport, Tourism) / 녹색건설, 교통 및 인프라, 도시 기후 행동 재원 조달에 관한 COP29 MAP 선언이 발표될 예정임
• 목요일(21일): 자연과 생물다양성, 원주민, 성평등, 해양 및 연안 지역(Nature and Biodiversity, Indigenous People, Gender Equality, Oceans and Coastal Zone) / 자연, 생물 다양성, 젠더에 대한 회의 진행
• 금요일(22일): 최종 협상(Final Negotiations)
l 기후솔루션은 COP29 기간 동안 참석 인원이 현지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는 텔레그램 방을 운영합니다. 아래 주소로 접속하면 다양한 정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 단체방 운영으로 중요 정보 제공
텔레그램 단체방을 통해 현장 사진 및 실시간 중요 정보 등 제공 예정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FOCOP
보도자료 공유하기